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이건 음식물일까 아닐까? 음식물 쓰레기 정확히 버리는 방법

by 블루윈 2025. 6. 29.

 

이건 음식물일까 버리는 방법 이미지
(출처 : AI활용)

1. 음식물쓰레기 기준 및 종류별 분리 배출법(헷갈리는 음식 깔끔 정리!)

“이건 음식물일까? 아닐까?”
계란 껍질, 생선뼈, 김치, 소스 묻은 종이컵…
배출할 때마다 고민되시죠?

이번 글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기준, 종류별 구분표, 올바른 버리는 방법까지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음식물쓰레기란? 기준부터 알아보자

음식물쓰레기란?

사람이 먹고 남은 음식물 중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물이 음식물쓰레기에 해당하는 건 아닙니다.


2.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 안 되는 것들

분류 예시 이유
단단한 껍질 조개껍질, 호두·밤 껍질, 복숭아씨 퇴비화 불가능
기름기 많은 것 튀김기름, 기름 덩어리 고기 악취 및 처리 불가
물기 많은 것 국물류, 얼음 무게만 늘어남
소금기 많은 것 젓갈, 된장, 고추장 퇴비화 방해
이물질 묻은 것 비닐, 종이, 플라스틱 등 포장재 재활용 불가

기준은 “가축이 먹을 수 있느냐”와 “퇴비화 가능하냐”입니다.


3. 음식물쓰레기 vs 일반쓰레기 구분표

품목 분류 설명
생선뼈, 닭뼈, 소·돼지 큰 뼈 일반쓰레기 단단하고 분쇄 불가
멸치·조기·작은 생선뼈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퇴비화 가능
달걀 껍질, 오징어 뼈 일반쓰레기 무기질로 분해 불가
과일 껍질 (사과, 배 등) 음식물쓰레기 부드럽고 퇴비화 가능
수박 껍질, 바나나 껍질 음식물쓰레기 단, 꼭지는 일반쓰레기
양파·마늘 껍질 일반쓰레기 처리공정 방해
김치 음식물쓰레기 단, 이물질 제거 후
국물 일반쓰레기 물기 제거 후 배출
차 찌꺼기, 커피 찌꺼기 음식물쓰레기 필터 제외하고 버림

혼합물은 가급적 이물질 제거 후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세요.


4. 올바른 음식물쓰레기 버리는 방법

  1. 물기를 꼭 짜서 배출
    • 수분은 처리 비용 증가의 주범
    • 탈수망이나 채반 활용 추천
  2. 비닐봉지 NO!
    • 종량제 봉투 or 지정 수거통 사용
    • 동네마다 지정 통이 다를 수 있어 확인 필수
  3. 이물질 제거
    • 이쑤시개, 포장재, 나무젓가락 등은 따로 버리기
    • 특히 배달 음식 남은 경우 분리 철저히
  4. 밤 8시~자정 사이 배출 (지역별 상이)
    • 냄새 및 해충 피해 방지
    • 지자체별 배출 시간 확인

5. 음식물쓰레기 배출 시 자주 하는 실수

  • 김치, 국물째로 그냥 부음 → X
  • 음식물 종량제 봉투에 비닐째 넣음 → X
  • 물기 없이 바짝 말린 사과껍질 → O
  • 커피 필터째로 버림 → X (필터는 일반쓰레기)

6. 음식물 쓰레기통 관리 팁

관리 항목 방법
악취 방지 신문지 깔기, 커피 찌꺼기 또는 베이킹소다 뿌리기
세척 주 1회 이상 중성세제로 세척 후 햇빛 건조
벌레 차단 수거통 주변 레몬껍질 or 식초물 스프레이 사용

7. 결론 : ‘기준’만 알면 음식물쓰레기 배출은 간단합니다

  • 음식물 쓰레기 기준은 퇴비화 가능 여부
  • 물기 제거, 비닐 제거, 이물질 분리만 잘 지켜도
    → 악취 예방 + 처리 비용 감소 + 환경 보호까지!